고혈압, 당뇨는 쉬는 날 없다! 추석 연휴, 만성질환자 건강 비상령

명절 음식은 대부분 기름지고 짜며, 고열량·고탄수화물 위주이다. 송편, 잡채, 전, 한과 등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에게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다. 예를 들어, 송편 3개는 공깃밥 반 공기 수준의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당뇨병 환자는 송편 섭취를 하루 1~2개로 제한하고, 잡채 대신 채소 위주의 나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식혜나 수정과 같은 단 음료 대신 물이나 보리차를 마시고, 과일은 사과·배 3분의 1쪽, 포도 10알 정도로 양을 조절해야 한다.
고혈압 환자는 국물류, 젓갈, 장아찌 등 염분 함량이 높은 음식을 피해야 한다. 전을 먹을 때는 간장 대신 채소를 곁들여 짠맛을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신장질환자는 곶감, 토란국, 바나나 등 칼륨이 많은 음식은 삼가야 한다.
식사 시에는 채소나 나물(식이섬유)을 먼저 먹고, 단백질, 마지막으로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순서로 혈당 급상승과 나트륨 흡수를 줄일 수 있다. 작은 접시를 사용하는 것도 과식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명절 준비를 위한 무리한 가사노동과 장시간 이동은 관절이나 척추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관절염이나 요통 환자는 쪼그려 앉는 자세나 반복 동작을 피해야 한다. 요리나 설거지 시에는 식탁이나 싱크대를 활용해 서서 일하거나 높은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것이 좋다. 손목 통증이 있다면 미리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자동차 이동 시에는 작은 쿠션으로 허리 만곡을 유지하고, 1~2시간마다 휴게소에 들러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필수이다.
심근경색, 협심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위험도가 높은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연휴 중 응급상황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고, 평소 복용약 목록, 병명, 주치의 연락처를 항상 소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장투석 환자는 투석 일정이 어긋나면 전해질 불균형, 부종, 급성 신부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미리 의료진과 투석 스케줄을 조정하고 귀성지 인근 투석 병원 정보를 확인해두어야 한다.
연휴 기간 병원 운영이 제한되므로, 응급의료망 확인은 필수이다.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지역 콜센터(120), 119를 통해 진료 가능한 병원과 약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응급의료포털에서도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만성질환자에게 추석 연휴는 단순히 쉬는 기간이 아닌, 철저한 자기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현명한 식단 조절, 적절한 활동, 그리고 응급상황 대비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명절을 보내기를 바란다.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